무는 배추, 고추와 함께 3대 채소로 불립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재배되었던 듯 하지만, 문헌상으로는
고려시대에 '중요 채소'라는 기록이 시작입니다.
무를 다른 이름으로 '동삼'이라고도 부르는데, 겨울에 먹으면 삼과 같은
효능이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생약명으로는 '나복'이라 하며 무의 잎은 '나복엽 ' 그리고 씨앗을
'나복자' 라고 부릅니다.
나복은 서늘한 성질로 달고 맵고, 나복엽은 평이한 성질로 맛은 맵고 쓰고,
나복자는 평이한 성질로 맛이 맵고 답니다.
무는 기본적으로 독성이 없고 폐와 위에 작용하여 소화를 돕고
담을 없애주며 기침을 멎게 돕습니다.
씹으면 나오는 쌉쌀하면서도 단 무즙은 답답한 기분도 풀어 주지요.
그래서 무로 음식을 만들 때면 꼭 생으로 한 조각 먹게 되네요!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는 무에 대하여, 종류와 효능 그리고 부작용을 알아보고, 맛있고
간단한 깍두기 도 만들어 봅니다.
무의 종류
1. 품종에 따라
북지무와 남지무로 나누어집니다.
북지무는 우리나라와 중국 북부에서 주로 재배하며, 우리의 풍토에 맞게 자란
토종 무가 이에 속합니다.
남지무는 중국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와 일본 등지에서 재배하는
무입니다.
2. 모양에 따라
조선무: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둥근 무를 부르는 이름입니다.
무청은 말려 시래기로 만들어 나물로 주로 이용하고, 무는
김치와 말랭이, 장아찌등 다양한 음식의 재료가 됩니다.
육질이 단단하고 저장성이 뛰어납니다.
왜무: 일본에서 들여온 무입니다.
모양은 일자로 길게 쭉 매끈하게 뻗어 있으며 주로
단무지를 만듭니다.
샐러드로도 이용합니다.
총각무: 북지무의 작은 품종으로 알타리무, 달랑무라고도 부릅니다.
뿌리가 작으며 줄기도 억세지 않아 무와 함께 무청도 김치를 담습니다.
그 김치가 총각김치이지요.
열무: 여린 무라는 뜻으로 뿌리가 작습니다.
주로 줄기와 잎으로 김치를 담가 먹지요.
3. 계절에 따라
봄무, 여름무, 가을무, 겨울무로 나눕니다.
가을무는 전국적으로 재배하며 맛과 품질이 좋으며 김장
김치에 이용합니다.
무의 효능
1. 소화에 도움
동의보감에 의하면 소화를 돕고 기를 내리며 담을 삭이고 독을 풀러 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디아스테제라는 효소가 탄수화물 소화에 매우 도움을 줍니다
이소시오시아네이트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 위장을 보호합니다.
2. 장 건강 도움
무 100g당 식이섬유가 1.1g 정도 들어 있으며 그중 불용성 식이섬유는
약 0.7g 정도 들어가 있답니다.
불용성 식이섬유는 장내 청소부라고 하지요.
3. 다이어트
무는 약 94%의 수분과 6%의 고형분으로 이루어져 칼로리가 낮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좋습니다.
또한 포만감도 주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됩니다.
4. 항암효과
이소티오시아네이트라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와
사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5. 항산화 효과
비타민C와 베타카로틴 등의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세포의 노화와 손상의 예방을 돕습니다.
무의 부작용
1. 요산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과한 섭취를 주의합니다.
2. 위장장애 주의
무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가 어려울 수 있으며, 과다 섭취 시 복통과 설사,
복부팽만이 생길 수 있습니다.
깍두기 만들기
무 1개, 쪽파 10개, 마늘 1 큰 스푼, 양파 반 개, 배 한쪽, 밥 2 큰 스푼, 매실청 2 큰 스푼, 굵은소금 2 큰 스푼
설탕 3 큰 스푼, 새우젓 1 큰 스푼, 액젓 3 큰 스푼, 고춧가루 150cc
1. 무는 깍둑썰기를 하여 굵은소금 2 큰 스푼과 설탕 2 큰 스푼을
넣고 섞어 30분 정도 절여 줍니다.
2. 4CM 내외로 쪽파를 썰어 놓습니다.
3. 밥에 새우젓, 마늘, 배, 양파를 넣고 믹서로 갈아 줍니다.
4. 믹서에 갈아 준비한 재료에 액젓과 설탕 1 큰 스푼을 넣고, 매실액과
고춧가루도 넣어 섞어 줍니다.
5. 절여진 무를 물에 한번 살짝 헹구고, 물을 빼어 줍니다.
6. 무에 준비한 양념을 섞어 주고, 마지막으로 쪽파를 넣어
가볍게 버무리면 완성입니다.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절음식 맛있는 LA 갈비구이 만들기 (0) | 2024.02.01 |
---|---|
제주에서 온 귤, 한라봉, 천혜향, 황금향, 레드향,타이백귤! 귤의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귤의 보관법과 귤에 관한 이야기 (2) | 2024.01.29 |
단감, 떫은감의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대봉감 홍시 만들기 (2) | 2024.01.12 |
섬초, 포항초,남해시금치 종류에 따른 시금치의 효능과 시금치 데치기 그리고 시금치 무침까지 (4) | 2024.01.11 |
제주 레드키위와 골드키위의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키위 보관법과 후숙방법 (0) | 2024.01.10 |